ETRI, 피부부착형 텔레햅틱으로 촉감 소통 앞당긴다
ETRI, 피부부착형 텔레햅틱으로 촉감 소통 앞당긴다
  • 나재필 기자
  • 승인 2022.10.13 13: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원격·가상 촉감 전달하는 텔레햅틱, 손가락에 붙여 몰입감↑ 

머리카락 1/20 초박막 유연 기판에 1㎜ 초소형 햅틱소자 올려
텔레햅틱 기술을 통해 촉각 정보를 수집하는 모습. ETRI 제공
텔레햅틱 기술을 통해 촉각 정보를 수집하는 모습. ETRI 제공

국내 연구진이 스티커처럼 손가락 끝에 부착해 실시간으로 촉감을 원격 전달하는 텔레햅틱 장치를 개발했다.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과 초소형화를 통한 활용성으로 메타버스 및 현실 촉각 경험에 몰입감을 더할 전망이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기존 촉감 재현장치의 몰입 저해 요소를 해결하고 피부에 밀착해 더욱 생생한 촉각 경험을 제공하는 피부부착형 텔레햅틱(telehaptic·촉각으로 사용자와 교감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술. 텔레햅틱 : 원격 사용자 간에 현실 같은 생생한 촉감을 공유하고 전달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전자공학 분야 세계 최고 수준 권위지인 '엔피제이 플렉시블 일렉트로닉스'에 지난달 게재됐다.

텔레햅틱 기술은 촉감을 원격으로 전송하는 기술이다. 메타버스, 가상·증강현실(VR·AR),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촉각을 활용한 몰입 경험을 크게 키울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시각과 청각을 넘어선 촉각 커뮤니케이션의 핵심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ETRI는 지난해 4월 텔레햅틱 기술을 공개한 데 이어 이번에 손가락에 스티커처럼 접착이 가능한 형태로 기술을 고도화하는 데 성공했다.

기존 촉감 재현장치의 큰 부피와 낮은 성능도 해결했다. 고도의 몰입감 있는 사용자 경험을 위해서는 피부에 붙일 수 있을 정도로 얇으면서도 정교한 촉·질감 재현이 필수적이다.

연구진은 자체 개발한 압전(壓電)소자와 초박막 유연 기판을 활용해 1㎜ 미만의 초소형 센서와 액추에이터를 기판 위에 정밀하게 집적했다. 기판이 머리카락 1/20 두께(약 4㎛)로 얇고 휠 수 있어 피부에 붙이는 데 적합하다. 

1.8㎜ 간격으로 세밀하게 구성된 고해상도 복합 센서는 1~1,000헤르츠(Hz)에 달하는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촉각 패턴을 느낄 수 있다. 느리게 변하는 압력(정압)과 빠르게 변하는 압력(동압)도 동시에 측정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나타냈다.

특히, 이번 성과는 면, 폴리에스테르, 스판덱스 등 재질 구별을 비롯, 볼록하게 튀어나온 글자 표면의 형상, 플라스틱 막대가 손끝을 굴러가는 동적인 느낌까지 측정하고 재현할 수 있다. 고해상도 센서가 위치별로 미세하게 다른 촉각 패턴까지 인식하기 때문이다. 

ETRI가 개발한 피부부착형 텔레햅틱 기술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 최대 15m 거리에서 실시간 촉감재현이 가능하다.

텔레햅틱 기술에 활용되는 압전 액추에이터(왼쪽))와 압전 센서(오른쪽).  ETRI 제공
텔레햅틱 기술에 활용되는 압전 액추에이터(왼쪽))와 압전 센서(오른쪽). ETRI 제공

특히, 촉·질감 데이터 신호 전달 시 지연시간은 1.55밀리초(ms)에 불과했고 획득 및 재현된 신호가 약 97% 일치했다. 이로써 신호 전달에 있어 어색함이 전혀 없다. 

연구진은 이 기술이 초박막 고유연성 기판 정압/동압 고해상도 복합 압력센서 고출력 다층구조의 초소형 압전 액추에이터 압전센서·액추에이터 신호처리 및 구동 복합 촉·질감 데이터 제어 및 무선통신 연동 기술 등이 집적된 결과라고 밝혔다.

김혜진 ETRI 지능형센서연구실 책임연구원은 "피부에 부착할 수 있는 가볍고 유연한 온스킨(on-skin) 촉감재현 장치를 통해 몰입도 높은 가상·증강현실 콘텐츠 개발의 기반 환경 마련에 한 걸음 더 나아가게 됐다"고 말했다.

연구진은 향후, 압전소자의 성능과 제품외형이나 크기, 물리적 배열을 뜻하는 폼팩터 폼팩터(Form Factor), 모바일 기기 등의 외형을 혁신적으로 고도화하여 진동 뿐만 아니라 다양한 방식의 촉각 자극을 결합하여 현실과 동일한 수준의 복합 촉·질감도 만들어 낼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압전소자와 구조물 설계를 더욱 고도화하여 출력 성능을 높이고 열·냉감까지 더하는 등 보다 현실감 있는 복합 센서 및 액추에이터 구현에 나설 방침이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고압전성 복합소재 및 초저전력 적층형 압전 센서/액추에이터 복합모듈 기술 개발'로 수행됐다.


  • 세종특별자치시 마음로 14 (가락마을6단지) 상가 1층 3호 리더스
  • 대표전화 : 044-863-3111
  • 팩스 : 044-863-3110
  • 편집국장·청소년보호책임자 : 나재필
  • 법인명 : 주식회사 미디어붓
  • 제호 : 미디어 붓 mediaboot
  • 등록번호 : 세종 아 00075
  • 등록일 : 2018년 11월1일
  • 발행일 : 2018년 12월3일
  • 발행·편집인 : 미디어붓 대표이사 나인문
  • 미디어 붓 mediaboot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미디어 붓 mediaboot.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ediaboot@daum.net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