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직 내려놓고 막노동 인생2막 “노동자 밥벌이 질량은 똑같다”
기자직 내려놓고 막노동 인생2막 “노동자 밥벌이 질량은 똑같다”
  • 나인문 기자
  • 승인 2024.01.12 09:3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나재필 ‘나의 막노동 일지’ 출간···청·장년층 인기몰이
네이버, 다음 동시 연재시 누적 조회수 500만 회 기록
나재필 저자(오른쪽)가 YTN 라디오(FM 94.5) 이성규의 행복한 쉼표 ‘잠시만요’에 출연해 진행자와 대담하고 있다.
나재필 저자(오른쪽)가 YTN 라디오(FM 94.5) 이성규의 행복한 쉼표 ‘잠시만요’에 출연해 진행자와 대담하고 있다.

30년 가까이 기자로 살아온 나재필(57) 작가는 ‘나의 삶은 막노동 이전과 막노동 이후로 나뉜다”고 말한다.

예고 없이 시작된 인생 후반전. 그가 삶의 무게와 밥벌이의 저열함을 깨닫고 막노동판에 뛰어들었다. 단기 일용직 아르바이트부터 건설현장을 돌며 비로소 알게 된 밥벌이의 기쁨과 슬픔은 상상 이상이었다. 현장에서 채록한 이야기들은 한 권의 책으로 엮어져, 베스트셀러 대열에서 선전하고 있다. 그의 글은 이미 네이버, 다음에서 누적 조회 수 500만 회를 기록한 바 있다.

초고령 사회로 빠르게 진입해가는 오늘날 한국에서 좌충우돌하는 기성세대의 현실을 생생하게 그려내는 한편, 육체노동의 가치가 폄하되고 노동자의 삶이 존중받지 못하는 시대에도 ‘땀은 정직하다’는 말을 매일같이 온몸으로 증명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노동 이야기를 담아냈다.

한겨울에도 막노동꾼의 목덜미를 타고 흐르는 땀 냄새, 하루의 피로와 고단함을 씻어내려 들이켜는 소주 한잔의 쓴맛, 그리고 다시 만져본 인생 2막 첫 월급의 단맛이 모두 느껴진다. 이는 ‘단짠단짠’ 인생의 맛이자 누군가의 부모이며 누군가의 자식인 사람들 모두에게 전하는 희망과 응원이다.

《나의 막노동 일지》는 30년 가까이 직장 생활을 해온 한 중년의 가장이 단기 일용직 아르바이트, 식당 주방보조 등을 전전하며 고군분투하다가 막노동판에 뛰어들어 인생 2막을 시작하게 된 이야기다. 이 책은 한창 일할 나이에 직장에서 떠밀려 나오지만 그와 동시에 은퇴 후에도 계속 먹고 살 걱정을 해야 하는 기성세대들의 비참함과 아이러니 가득한 현실을 가감 없이 보여준다. 동시에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막막함을 이겨내고 성실한 노동을 통해 앞으로의 삶을 살아내면 된다는 희망과 응원의 메시지를 전한다.

나의 막노동일지 표지.
나의 막노동일지 표지.

“오랜 세월 동안 흰 와이셔츠를 다려 입고 기자로 살아왔지만, 막노동꾼으로 살았던 몇 번의 계절이 나에겐 더 값진 흔적으로 남았다. 이건 상처가 아니라 훈장 같은 것이다. 마치 아무짝에도 쓸모없던 중년의 남자가 취업난을 이겨내고 삶의 팽팽한 현장 속으로 뛰어 들어가 다시 쓸모를 되찾은 느낌이다. 인생의 멋진 변주다.”(272-273쪽)

베이비붐 세대가 본격적으로 노인복지의 영역으로 들어오기 시작했고, 한국은 초고령 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이 책은 중장년 세대를 비롯해 격변하는 한국 사회에서 좌충우돌하는 이들의 현실을 생생하게 그려내는 한편, 육체노동의 가치가 폄하되고 노동자의 삶이 존중받지 못하는 시대에도 ‘땀은 정직하다’는 말을 매일같이 온몸으로 증명하며 살아가는 사람들의 노동 이야기를 담아낸다.

운영하던 회사가 망한 뒤 다시 창업 자금을 모으고 있다는 50대 가장, 홀어머니의 병원비를 마련하기 위해 막노동에 뛰어든 30대 청년, 부모로부터 당당히 독립해 자수성가하겠다는 꿈을 꾸는 20대 취준생, 농한기를 맞아 몇 개월만 일하려고 온 농사꾼들까지···. 책에는 각자의 사연을 지닌 사람들이 등장한다. 저자 자신에게 막노동이 새로운 시작과 생존을 위한 몸부림이었듯, 그곳에 모인 사람들도 저마다의 꿈과 희망을 위해 막노동이라는 반복의 고됨을 이겨내고 있었다.

“막노동은 결코 슬픔으로만 점철되지 않는다. 자신의 일을 좋아하는 사람은 때론 남이 일한 흔적까지 좋아하게 된다고 한다. 피해 갈 수도 마주할 수도 없는 상황에서 많은 사람들은 절묘한 회피를 선택하지만, 이곳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은 도망치지 않고 자기 삶에 정면으로 맞선다.”(75쪽)

저자는 자신의 삶이 “막노동 이전과 막노동 이후로 나뉠 만큼” 변했다고 말한다. 그의 고백에는 중년의 반퇴자(이른 퇴직 후 다시 경제 활동에 뛰어드는 사람)가 계속 일하며 인생 후반전을 살아갈 기회를 얻었다는 뜻 외에도 막노동을 비하하고 얕잡아보는 차별적 시선(“공부 안 하면 저렇게 된다.” “인생 밑바닥까지 가서야 하는 일.”), 더 나아가 ‘그럴듯한 노동’과 ‘없어 보이는 노동’을 구분하는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게 되었다는 뜻이 담겨 있다.

“사람들은 막노동판을 무시만 할 뿐, 실상은 잘 모르고 있다. 실제 그 속에서 밥벌이는 어떻게 이뤄지는지, 그들이 어떤 생각을 하고 있는지 관심도 없고 알려고도 하지 않는다. 그저 잘못된 인식을 오랫동안 답습해온 대로 막노동이라는 일을 폄훼하고 하대한다. 이런 일련의 학습 효과가 노동의 가치를 떨어뜨리고 있다.”(272쪽)

그래서인지 저자가 막노동 현장에서 틈틈이 기록한 일지에는 새벽 별을 보고 출근해 저녁달을 보며 퇴근하는 노동자들의 기울어진 어깨, 함바집이며 화장실 앞에 길게 늘어선 줄에서 발견한 소시민의 굽은 등, 휴식 시간이면 차가운 시멘트 바닥 위에 옹기종기 모여 선잠을 청하는 동료들의 모습이 유난히 애틋하게 그려진다. “거기에는 가족의 건사를 짊어진 채 비탈길에서 아슬아슬하게 한 걸음씩 내딛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99쪽)

이와 더불어 저자가 실제 경험을 통해서 알게 된 막노동판의 임금 수준이나 체계, 일일 노동 시간, 공정의 종류와 난이도, 시대착오적인 관행들, 안전 관리와 산업 재해, 일반 공사현장과 대기업 공사현장의 차이 등 쉽게 접하기 어려운 정보들은 막노동 현장이 어떻게 돌아가는지, 그 속에서 노동자들이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를 매우 사실적으로 보여준다.

“현재는 누추하나 잠시 인생의 소낙비를 피해 희망을 찾는 열린 은거지. 노동자들은 ‘리얼 서바이벌 격전지’ 같은 막노동 현장을 잠깐의 서식지로 삼고 있었다. 전국 각지에서 온 이방인들은 저마다 푸른 꿈을 꾸었다. 가지각색의 사연은 대부분 무채색에 가까웠다. 무표정한 얼굴 속에 가려진 비애는 그들이 살아온 삶에 묵언의 그림자를 드리웠다. 나는 노동판에 뛰어든 이후 그들을 조금씩 이해하기 시작했다.”(64쪽)

나재필 작가가 오마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사진 포즈를 취하고 있다.
나재필 작가가 오마이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사진 포즈를 취하고 있다.

부모를 부양하는 마지막 세대이자 자녀에게 부양받지 못하는 처음 세대(마처세대), 가족에게 헌신했지만 가족에게 헌신짝 취급을 받는 세대, 청년 취업난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세대, 뼈 빠지게 일하고도 구조조정된 세대···.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이른바 ‘5060’, ‘중장년층’에게 찍힌 낙인들이다. 그럼에도 저자는 엄살을 떨거나 핑곗거리를 찾기보다 서로의 고민과 아픔을 이해하며 이 시대를 함께 살아내자고 말한다. 이는 ‘나의 막노동 일지’가 인터넷에 연재됐을 때 세대를 뛰어넘어 많은 사람들로부터 폭넓은 공감과 지지를 얻은 까닭이기도 하다.

“젊음과 늙음은 살아온 시간, 살아갈 시간의 길이만으로 설명될 수 없다. 동시대를 살아간다는 건 동질의 고민과 아픔이 있다는 것이다. 이는 특정 계층이나 세대만의 일이 아니다. 서로 다른 듯 보이는 세대들은 서로 충돌하며 질곡 많은 시대를 관통하고 있다. 나는 이런 동질의 사람들이 과거와 현재의 희생자가 아니라 앞으로도 함께 살아가야 할 미래의 동행자이길 희망한다.”(8쪽)

“열심히 하겠습니다. 저 좀 써주세요.”라는 읊조림은 이 시대 기성세대들의 절박함과 초조함을 대변한다. 저자 또한 너무도 절박했기에 어떤 일에도 머뭇거리지 않고 도전할 수 있었다. “직업의 귀함과 천함은 사람들의 시선에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마음속에 달려 있다.” 그렇게 저자는 재취업을 위해 분투하고 막노동까지 하게 된 경험을 통해 몸소 증명해낸다. 화이트칼라 노동자의 세계와 블루칼라 노동자의 세계가 다르지 않음을, 특정 세대가 아니라 모두가 각자의 삶을 견디며 치열하게 살아가고 있음을.

“한번 밑동이 잘린 나무는 이듬해 잘린 그루터기에서 곁가지들이 뻗친다. 곁가지가 다시 나무가 되지는 않는다. 하지만 곁가지에도 이파리는 돋아난다. 은퇴한 중장년들의 삶도 밑동이 잘린 나무나 다름없지만 생명력이 있기에 다시 곁가지를 뻗치고 이파리를 틔울 수 있다. 우리는 낡아가는 것이 아니라 새로워지고 있는 것이다.”(261쪽)


  • 세종특별자치시 마음로 14 (가락마을6단지) 상가 1층 3호 리더스
  • 대표전화 : 044-863-3111
  • 팩스 : 044-863-3110
  • 편집국장·청소년보호책임자 : 나재필
  • 법인명 : 주식회사 미디어붓
  • 제호 : 미디어 붓 mediaboot
  • 등록번호 : 세종 아 00075
  • 등록일 : 2018년 11월1일
  • 발행일 : 2018년 12월3일
  • 발행·편집인 : 미디어붓 대표이사 나인문
  • 미디어 붓 mediaboot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4 미디어 붓 mediaboot. All rights reserved. mail to mediaboot@daum.net
ND소프트